본문 바로가기

잡학지식254

미 필리핀 연합군 항복, 바탄반도 죽음의 행진 남방작전 성공과 내분 당시 미 극동군 육군 사령관은 더글러스 맥아더였다. 1930년대 경제불황으로 군축에 나선 미국 32대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맞서 삭감을 반대하다가 육군 참모 총장에서 물러난다. 더글라스 맥아더의 아버지는 '아서 맥아더 2세'로 필리핀 미 군정 초대 총독이었다. 그 인연으로 더글라스 맥아더는 필리핀 육군 원수 겸 군사 고문으로 좌천된다. 일본군, 싱가포르와 필리핀을 휩쓸다 일본군, 싱가포르와 필리핀을 휩쓸다 일본군, 싱가포르와 필리핀을 휩쓸다 일본군 상륙 약 1개월 후 1942년 1월 2일 영연방군의 반격작전이 시작된다. 반격작전은 성공한다. 영연방군의 반격과 저항으로 일본군 제5사단의 진격을 저지 bringbacon.tistory.com 더글라스 맥아더는 전운이 감돌던 .. 2024. 2. 3.
일본군, 싱가포르와 필리핀을 휩쓸다 일본군, 싱가포르와 필리핀을 휩쓸다 일본군 상륙 약 1개월 후 1942년 1월 2일 영연방군의 반격작전이 시작된다. 반격작전은 성공한다. 영연방군의 반격과 저항으로 일본군 제5사단의 진격을 저지된다. 영연방군은 고무농원 뒤에 방어진지를 설치한다. 고무농원 앞에는 대전차 장애물을 설치한다. 영연방군의 장교만 영국인이고 병사는 인도군이었다. 일본군 지휘관은 전초부대를 투입해서 위력정찰과 수색을 했는데 인도군에게 타격을 받는다. 남방작전 코드명 E, 과거 동맹군을 적으로 만나다 남방작전 코드명 E, 과거 동맹군을 적으로 만나다 남방작전 코드명 E, 과거 동맹군을 적으로 만나다 일본은 난공불락 싱가포르를 정면 공격하지 않고 북쪽에서 내려와 싱가포르 후방을 공격한다. 1938년 싱가포르섬 북쪽에 영국 해군기지가 .. 2024. 2. 2.
남방작전 코드명 E, 과거 동맹군을 적으로 만나다 남방작전 코드명 E, 과거 동맹군을 적으로 만나다 일본은 난공불락 싱가포르를 정면 공격하지 않고 북쪽에서 내려와 싱가포르 후방을 공격한다. 1938년 싱가포르섬 북쪽에 영국 해군기지가 완공되고 15인치 포 6문 등 해안포 29문을 배치하고 철벽을 요새화했다. 영국 입장에서는 허를 찔린 것이다. 일본군은 5사단, 18사단, 근위사단과 직할부대 등 말라야 전역에 모두 3개 사단을 투입했다. 상륙의 주력부대는 말레이반도 접경지대 태국령 싱고라(송클라), 파타니에 상륙해서 비행장을 점령한다. 상륙주력부대는 산맥을 넘어 말레이반도 서해안으로 남하한다. 진주만 공습과 남방작전 진주만 공습과 남방작전 진주만 공습과 남방작전 1941년 태평양 전쟁 발발 당시 일본해군은 세계 최강 기동함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개전 당시.. 2024. 2. 2.
진주만 공습과 남방작전 진주만 공습과 남방작전 1941년 태평양 전쟁 발발 당시 일본해군은 세계 최강 기동함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개전 당시 일본군의 정규군은 약 240만 명이었다. 1931년부터 만주사변, 1937년 중일전쟁을 거치면서 대부분 전선에 투입돼 실전 경험을 지녔다. 태평양전쟁 후반 1945년에는 예비군 약 300만 명이었다. 일본 육군은 사단수는 많지 않아서 태평양전쟁 동원 병력을 51개 사단이었다. 태평양전쟁 개전 당시 일본군 편제는 일본 본토 5개 사단, 관동군 등 해외 파견 46개 사단으로 병력 동원 조직화에 한계가 있었다. 항공기는 7,500대, 작전 수행시간은 500시간 이상 파일럿이 3,500명 정도였다. 일본 해군의 주력 함선 전투함은 230척이었다. 개전 당시 출진 항공모함은 9척이었다. 전력은 일.. 2024.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