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티스토리챌린지7

고대 이스라엘과 숫자 40의 의미 고대 이스라엘과 숫자 40의 의미 구약성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대 이스라엘을 알아야 한다. 현대 이스라엘의 면적은 20,770㎢이며 전라남도 면적 12,348㎢, 전라북도 면적 8,070㎢을 합친 것과 비슷하다. 전라남도와 경상남도 두 지역을 합치면 지금 이스라엘의 요르단 서편까지 포함한 면적과 비슷하다. 우리가 알고 있는 현대 이스라엘의 영토는 구약시대 때, 고대 이스라엘의 영토보다 결코 작다고 할 수 없다. 작은 이스라엘은 주위의 많은 민족에게 둘러싸여 있었고 이집트는 언제나 팔레스티나가 자신들의 영향력이 미치는 영토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주변국가에 둘러싸인 작은 규모의 이스라엘이 자신의 독자적인 어떤 것, 외부의 어떤 영향도 받지 않고 생존한다는 것은 역사에서 불가능하다. 이스라엘은 생각보다 훨씬.. 2024. 11. 24.
이스라엘에 널리 퍼진 달신 숭배 문화 이스라엘에 널리 퍼진 달신 숭배 문화메소포타미아를 중심으로 고대근동 세계에 많은 달신 신앙이 퍼져 있다. 아브라함은 우르 출신이고 하란을 거쳐서 가나안 땅으로 왔다. 이집트에서 탈출한 히브리인들도 시나이산을 방문했다는 것들이 처음부터 달신 신앙이 이스라엘 가까이 있었던 것 아닐까 하고 추측해 볼 수 있다. 시리아-팔레스티나 지역은 이집트나 메소포타미아보다는 훨씬 땅도 좁고 인구도 작았고 큰 패권을 갖기가 어려웠다. 하지만 양쪽의 영향을 받아서 독특하게 발전했다. 시리아-팔레스티나 지방에 작은 나라들이 많이 있는데 그 나라들마다 조금씩 다르다. 다 알아야 고대근동의 많은 나라 중 하나인 이스라엘의 고유한 신앙도 알 수 있다.   달신 신앙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긴 것은 '초하루'였다. 그믐달이 끝나면 그믐달.. 2024. 11. 23.
고대근동 세계의 달의 신 고대근동 세계의 달의 신인류 최초의 문명 수메르 시대의 달의 신은 '난나'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난나라는 신은 '우르'라는 도시의 주신主神이었다. 수메르에는 도시국가가 여러 개 있었는데 그중에서 한 도시 국가가 어떤 신을 믿는다는 것을 주신主神이라 부른다.  난나의 이야기가 수메르어로 적혀 전해진다. 달신은 남성 신이며 보통 남성 신이 아니라 상남자, 바람둥이 같은 캐릭터였다. 수메르시대의 난나는 남신이었는데 수메르를 이어서 메소포타미아를 지배한 아카드인들은 이 신의 이름을 '신'이라고 했다. 난나에서 신으로 이름을 바뀌었지만 남성 신이고 상남자 신이고 힘센 신은 변함이 없었다.  '신'신은 초승달 모양으로 생겼다. 동양의 음양사상에 따르면 태양신이 남성 신이고 더 강하고 세고 달의 신은 여성 신이고 약.. 2024. 11. 12.
모세의 가시덤불과 그리스도의 가시관 모세의 가시덤불과 그리스도의 가시관고대 바빌로니아 현인들은 깊은 진리의 상징, 깨달음의 상징으로 '가시'를 이야기하였다. '가시'라는 상징이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에서 그리스도교 신학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 이집트 탈출 사건은 우주적인 창조 사건에 비교될 수 있는 엄청난 의미의 사건이다. 창조 신화의 언어로 물을 가른 사건, 창조신화의 언어로 이집트 탈출 사건을 설명했기 때문에 우주적 의미가 깃든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이집트 탈출 사건이 일어나기 전에 모세에게 하느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신다.  주님의 천사가 가시덤불(떨기나무)한가운데로부터 솟아오르는 불꽃 속에서 그에게 나타났다그가 보니 가시덤불(떨기)이 불에 타는데도그 가시덤불(떨기)은 타서 없어지지 않았다.-탈출기, 개신교의 출애굽기 3장 2절.. 2024. 11. 11.